목록콤퓨타 왕기초 (187)
파게로그
산술연산자 SELECT HIT+1 FROM NOTICE; -- 컬럼명도 바뀌어버리니까... 땡 SELECT HIT+1 AS HIT FROM NOTICE; -- OK SELECT HIT+1 HIT FROM NOTICE; -- OK SELECT 1+'3' FROM DUAL; --DUAL은 dummy table. 결과는 4,,,? 문자가 숫자로 바뀜. 오라클에서 +는 무조건 숫자만 더함. 문자열 더하는건 ||... SELECT '3'||10 FROM DUAL; --10을 문자열로 변환시켜서 310이 나옴 SELECT 1+'a' FROM DUAL; --에러 "이름(아이디)" 로 조회하기. - 포맷팅이니까 이런건 보통 뷰단에서, UI에서 처리한다! SELECT NAME||'('||ID||')' FROM MEMBE..
Transaction: 업무 실행단위, 논리 명령단위, 개념상의 명령단위 업무적인 단위 계좌이체 이벤트 게시글 등록 물리적인 명령어 단위 update (송신자) update (수신자) insert update 두 업데이트가 모두 완전하게 실행되거나, 또는 아예 실행되지 않아야 한다. 1. 현재 세션을 위한 임시저장소에서 테스트 2. 그 동안 다른 세션이 건드리지 못하도록... LOCK & UNLOCK -> COMMIT & ROLLBACK 같은 서버에 대해 같은 계정이라 하더라도, 두 개의 세션이 열렸을 때.. 한 군데서 INSERT를 했어도 다른 데서 SELECT를 통해 확인할 수 없다. 왜냐면 임시저장소에서만 테스트되기 때문. (임시 테이블스페이스가 이 떄 쓰이는 거) 다른 사용자가 봐도 문제 없을 것..
for (size_t i = 0; i 컴파일 에러. size_t i; 선언부가 위로 빠져야 함 while문 코딩 표준... 조건식에 그냥 변수를 넣기보다는 ==0이나 !=0을 사용하자
case에 정수형(ex: int, char, enum)만 사용할 수 있음! cf. switch-case문에서 break 안 써서 아래 코드 쭉 실행시키는 걸 fall-through라고 함 fall-through는 코딩 표준에서.. 명시적으로 표기하도록..! 예) enum day { DAY_MONDAY, DAY_TUESDAY, DAY_WEDNESDAY /*...*/ }; enum day day = DAY_MONDAY; switch (day) { case DAY_MONDAY: printf("Sad\n"); /* intentional fallthrough */ case DAY_FRIDAY: printf("Happy\n"); break; default: printf("Soso\n"); break; } cf. c..
bool expression(불 표현식) (a>10)은 '0 또는 0이 아닌 값'을 반환하는 것이 아니라 '0 또는 1'을 반환한다.
부호 없는 정수형이지만 실제 데이터형은 아님 _t: typedef를 했다는 힌트 - typedef는 다른 자료형에 별칭을 붙이는 것 - 플랫폼에 따라 다른 자료형을 쓰기 위해서 size_t를 typedef한 것 - ex. Clang Windows에서는... 64bit OS이면 unsigned __int64(64비트), 32bit OS이면 unsigned int(32비트) (C89 표준) - size_t의 크기는 명시되지 않음 - 단, 배열을 만들면 그 배열의 바이트 크기를 얻을 수 있다고 명시함 -> size_t는 최소 그 정도는 담을 수 있는 크기(배열의 크기는.. 2^8-1은 너무 작고 최소 2^16-1=65535는 되어야 할 것 같음...) (C99 표준) 최소 16비트 요구 (일반적으로) unsi..
우선순위 연산자 설명 연산자 결합 법칙 1 ++ -- 후위 증감 연산자 → () 함수 호출 [] 배열 첨자 . 구조체, 공용체 멤버 접근자 -> 구조체, 공용체 멤버 접근자(포인터) 2 ++ -- 전위 증감 연산자 ← + - 단항(unary) 연산자 ! ~ 논리/비트 부정(NOT) 연산자 (자료형) 자료형 캐스팅 * 역참조(간접참조) & 주소(address-of) sizeof 피연산자의 크기(size-of) 3 * / % 곱하기, 나누기(몫), 나머지 → 4 + - 덧셈, 뺄셈 → 5 왼쪽, 오른쪽 비트 이동 연산자 → 6 = 7 == != 비교 연산자 → 8 & 비트 AND 연산자 → 9 ^ 비트 XOR 연산자 → 10 | 비트 OR 연산자 → 11 && 논리 AND 연산자 → 12 || 논리 OR 연..
블록 시작 때에 모든 변수를 선언해야 한다. 그 뒤에 선언하면 컴파일 에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