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콤퓨타 왕왕기초 (156)
파게로그
문제 링크: 11724번 연결 요소의 개수 https://www.acmicpc.net/problem/11724 BFS 또는 DFS를 평범하게 구현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이다.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public class Main { /* static void dfs(ArrayList[] graph, boolean[] visit, int cur) { visit[cur] = t..
문제 링크: 7576번 토마토 https://www.acmicpc.net/problem/7576 먼저 상자 전체를 순차적으로 탐색하면서 익은 토마토의 위치를 큐에 저장한다. 그 이후에 큐가 빌 때까지 BFS를 바로 수행해준다. BFS를 끝마친 후 마지막에 익지 않은 토마토를 찾았을 때, for문을 일일이 탈출하지 말고 label을 이용하면 보다 편리하다.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public class Main { static ..
문제 링크: 2178번 제목 https://www.acmicpc.net/problem/2178 최단거리를 찾으므로 BFS로 구현하는 것이 유리하며, 방문하는 새로운 칸에는 현재의 칸에 저장된 값보다 1만큼 큰 값을 저장한다. 코드에서는 이용하지 않았지만, maze 배열의 테두리를 0(이동할 수 없는 칸)으로 감싸게 되면 새로 이동할 칸이 maze를 벗어나지 않는지 체크할 필요가 없다.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import jav..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의 등위 개념으로는 AppleTalk, IPX(Internetwork Packet eXchange), NetBEUI 등이 있다. TCP/IP의 특징 각각의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호스트는 고유한 주소를 가지고 있어서, 자신이 속해 있는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된 호스트와도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패킷 교환 방식을 관장하는 프로토콜이다. 전송 조절 프로토콜인 TCP는 데이터를 패킷으로 나누어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일과 수신된 패킷을 원래의 데이터로 조립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IP는 각 패킷의 주소를 담당하여 패킷들이 목적지에 정확하게 도달하도록 한다. UDP와의 차이를 주목할..
문제 링크: 1012번 제목 https://www.acmicpc.net/problem/1012 연결된 노드의 집합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이다. 앞선 문제처럼, visited를 선언하지 않고도 0, 1, 2로 구분하는 방식으로 해서 문제를 풀어갈 수도 있다.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drow = {0, 0, 1, -1}; static int[] dcol = {1, -1, 0, 0}; static class Pos { int row; int col; Pos(int row, in..
문제 링크: 2667번 단지번호붙이기 https://www.acmicpc.net/problem/2667 흔히 말하는 섬 개수와, 각 섬의 면적을 구하는 문제이다. 이 문제에서 섬 개수는 단지의 수, 각 섬의 면적은 각 단지의 집의 수를 뜻한다. DFS 함수 진입 후, 해당 칸이 집이 없는 칸이라면 즉 map[row][col] != 1이라면 함수를 빠져나온다. 그렇지 않을 때에는 해당 칸을 '집이 있으며, 방문을 하였음'이라는 의미로 2로 바꾸어준다. 그리고 집이 있는 칸을 방문하였기에 면적을 1만큼 더해준다. 그 후 지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동서남북 방향의 칸에 대해서 DFS 함수를 호출하고, 호출된 함수가 반환하는 areaSize 값을 호출한 함수의 areaSize에 할당한다. 이렇게 하면 가장 ..
문제 링크: 2606번 바이러스 https://www.acmicpc.net/problem/2606 서로 연결된 노드들의 집합 개수를 구하는 문제이다. 1번 컴퓨터와 네트워크 상에서 직접 연결된 컴퓨터의 수를 구하면 되므로, 모든 탐색을 끝마친 후 visit 배열의 true 개수를 모두 세고, 1번 컴퓨터를 뺀 값을 출력한다.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
문제 링크: 1260번 제목 https://www.acmicpc.net/problem/1260 DFS와 BFS를 구현해보는 가장 기초적인 문제이다. 먼저 그래프 문제의 경우 입력부터 신경쓸 필요가 있다. 그래프가 인접 행렬로 주어진 경우와 인접 리스트로 주어진 경우를 나누어 생각해야 한다. 인접 행렬로 주어지는 경우에는 2차원 배열로 받는 것이 일반적이며, 인접 리스트로 주어지는 경우에는 ArrayList[]를 쓰는 편이 좋다. 2중 ArrayList를 사용하게 되면 get과 set을 사용하게 되어 보기에 흉하다(?). 다만 원칙은 2중 ArrayList를 쓰는 것이며, 따라서 컴파일 경고를 피할 수는 없으며 무시할 수는 있다. DFS는 stack을 별도로 만들어두고서 함수를 호출해도 되지만, 재귀적으로..